배너감추기
배너감추기

바이크 흔한 용어들

컨텐츠 정보

  • 2,124 조회
  • 2 댓글
  • 26 RPM

본문

 쓰로틀 (Throttle)

오른손 그립을 돌리는 크기에 따라 엔진에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게 됩니다.

자동차의 악셀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브레이크 (Brake)

앞바퀴 제동은 오른손 레버로, 뒷브레이크는 우측 페달로 뒷바퀴 제동을 합니다.

 


 (Horn)

흔히 말하는 빵빵이, 경적의 정식 명칭이며 보통의 경우 왼손 핸들 스위치에 버튼이 있습니다.

- 클러치 (Clutch)

클러치는 엔진과 기어박스간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기어 변속시 엔진 회전력이 있는 상태에서는 변속이 불가능하기에 클러치를 이용해 일시적으로 동력을 차단하여 변속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일반적으로 왼손 레버입니다.

 


 수동변속기(Gear)

메뉴얼 바이크의 경우 왼발 페달에 위치해있습니다.

기어를 밟아 내리면 1, 기어를 들춰 올리면 그 위에서부터 N, 2, 3, 4~~~~ 순으로 기어변속이 됩니다.

 


 퀵시프트 (Quick-Shift)

주행 중 클러치 조작없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보통 고급 기종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 바이크에서도 논클러치 변속이 가능한 기종도 있지만 하지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작동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험하게 사용하면 기어박스 고장의 위험이 있습니다.

 


 레브 매칭 (Rev matching)

기어 변속시 엔진회전수와 기어박스 회전수가 적합하지 않을때 변속 충격이 발생하는데 이때 엔진 회전수를 의도적으로 맞춰 변속충격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저단 변속시 기어박스 회전에 연결되면서 엔진회전수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때 스로틀을 스내칭하여 회전속도의 차이를 줄이고 뒷타이어 접지력과과 클러치 등 기타 장치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조작하는 맛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양방향 퀵쉬프트가 가능한 바이크는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전자식 스로틀을 이용해 저단 변속시 자동으로 정확하게 매칭 작업을 해줍니다.

 


 스티어링 락 (Steering Lock)

바이크의 보안장치로 시동OFF 후 핸들을 잠글 수 있습니다. 밀어서 끌고가는 도난을 방지하는 목적입니다.

일반적으로 핸들을 왼쪽으로 완전히 돌린 후 잠글 수 있게끔 되어있습니다.

 


 라이딩 (Riding)

자동차의 드라이브와 같은 뜻이며 바이크는 라이딩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와인딩 (Winding)

와인딩은 흔히 고갯길, 꾸불꾸불길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70%이상은 나라로 와인딩코스가 굉장히 많습니다.

 


 트랙션 (Traction),

타이어와 지면사이의 접지력을 이야기합니다.

바이크의 트랙션 컨트롤은 가속으로 인한 뒷바퀴의 미끄러짐을 감소시켜주는 기능입니다. 미끄러짐이 감지되면 출력을 줄여 접지력을 되찾고 미끄러짐 위험을 줄여주는 기능입니다.

 


 

 

 

코너링 (Cornering)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슬립 (slip)

일반적으로 바이크가 넘어지거나 했을때 슬립을 했다는 주로 표현을 씁니다.

주행중에 접지력을 잃고 넘어진 경우의 슬립이라 표현합니다.

 


 

 

윌리 (Wheelie)

앞바퀴를 들어올려 주행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종의 스턴트 기술로 할일도 없을뿐더러 너무 위험하기때문에 하지않길 추천합니다.

 

 

 

 

 

26 추천

관련자료

댓글 2
>>> ON AIR (방송보기)
알림 0